베를린 북부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를린 북부선은 베를린과 슈트랄준트를 연결하기 위해 1877년부터 1878년까지 건설된 철도 노선이다. 이 노선은 여러 단계를 거쳐 개통되었으며, 베를린 북쪽 지역의 인구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1912년에는 교외선이 건설되었고, 1925년에는 전철화가 이루어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베를린 장벽 건설로 인해 노선이 분리되었고, 독일 재통일 이후에는 일부 구간이 재개통되었다. 현재는 S반, 장거리 열차, 지역 열차가 운행되며, 베를린-로스토크 구간 개량이 진행되었다. 향후 베를린-비르켄베르더 구간의 직통 노선 재개통 및 시내 구간 재건설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7년 개통한 철도 노선 - 토르냐칼른스-투쿰스 II선
리가에서 벤츠필스까지 이어지는 토르냐칼른스-투쿰스 II선은 1876년 리가-투쿰스 구간 개통 후 1912년 벤츠필스까지 연장되었고, 제1차 세계 대전 피해 복구 후 1950년대 유르말라 지역 관광 개발로 승객이 증가하여 라트비아 최초로 전철화가 이루어진 철도 노선이다.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의 철도 노선 - 노이슈트렐리츠-바르네뮌데선
노이슈트렐리츠-바르네뮌데선은 독일 베를린에서 바르네뮌데에 이르는 철도 노선으로, 과거 베를린과 코펜하겐을 잇는 주요 통로였으며 현재는 다양한 열차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의 철도 노선 - 뷔초-슈체친선
뷔초-슈체친선은 1850년 뷔초-귀스트로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건설된 독일 뷔초와 폴란드 슈체친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독일 분단 시기에는 함부르크-슈체친 간 직통 열차 운행이 중단되기도 했으나 1990년 이후 폴란드 방향 운행이 재개되고 2001년에는 슈체친까지 2시간 간격의 열차 배차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 브란덴부르크주의 철도 노선 - 크레멘선
크레멘선은 독일 브란덴부르크주와 베를린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베를린 북부선에서 분기되어 크레멘까지 이어지며 과거 베를린 S반으로 운영되다 현재는 S반 및 레기오날반 열차가 운행되고 일부 구간 복선화 및 S반 연장 계획이 논의 중이다. - 브란덴부르크주의 철도 노선 - 반제선
반제선은 1874년 개통된 독일 최초의 교외 노선으로, 베를린 첼렌도르프에서 포츠담 간선까지 이어지며 베를린 남서부 지역 개발과 함께 성장하여 전철화되었고, 전쟁과 분단 시기를 거쳐 현재는 베를린 S반의 주요 노선으로 운행되고 있다.
베를린 북부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 | |
노선 이름 | 베를린 북부선 |
원래 이름 | Berliner Nordbahn |
원래 이름 (언어) | 독일어 |
노선 번호 | 200.1, 200.85, 205, 209.12 |
노선 번호 (S반) | 6088 6030 (오라니엔부르크 행 S반) |
노선 길이 | 222.6 km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전철화 방식 | 교류 15 kV, 16.7 Hz (가공 전차선) 직류 750 V (제3궤조, 베를린-오라니엔부르크 S반) |
최고 속도 | 120 km/h (비르켄베르더-나센하이데 구간) 160 km/h (나센하이데-노이슈트렐리츠 구간) 100 km/h (기타 구간) |
노선 정보 | |
관할 지역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주,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 독일 |
운영 기관 | 독일 철도 |
역사 | |
개통 | 1877년 |
노선 정보 | |
선로 수 | 복선 (노이슈트렐리츠 중앙역 이남), 단선 (노이슈트렐리츠 중앙역 - 슈트랄준트 중앙역) |
2. 역사
베를린 북부선 건설은 1843년부터 1870년까지 수십 년 동안 계획되었다. 프로이센과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로부터 특허를 받은 베를린 북부 철도 회사가 재정 문제로 1875년 12월 15일에 해산되면서 프로이센 정부가 미완성 철도를 인수하여 건설을 계속하였다.
개통은 세 단계로 이루어졌다.
- 1877년 7월 10일: 베를린–오라니엔부르크–노이슈트렐리츠–노이부란덴부르크 (134 km)
- 1877년 12월 1일: 노이부란덴부르크–데민 (42 km)
- 1878년 1월 1일: 데민–슈트랄준트 (47 km)

북부 철도 건설은 철도 노선이 지나는 베를린 북쪽 마을에 큰 영향을 주었다. 글리니케/노르트반과 같이 인구가 급증한 곳도 있었으며, 노르트반(Nordbahn)이라는 용어가 지명의 일부가 되기도 했다.
철도의 베를린 종착역은 처음에는 화물 전용으로, 현재 마우어파크가 있는 곳이었다. 여객 서비스는 오늘날의 볼란크슈트라세역인 판코에서 시작되었다. 19세기 말 여객 열차 종착역은 인발리덴슈트라세에 건설된 슈테티너 반호프(슈테틴 역)로 이전되었다.
1912년 게준트브루넨과 프로나우 사이에 장거리 선로와 별도의 교외 선로가 건설되었고, 노선은 고가도로로 변경되어 건널목이 없어졌다. 1926년에는 프로나우에서 보르스도르프까지 구간도 정리되었다.
1925년 교외 서비스는 직류 시스템을 사용하여 게준트브루넨에서 오라니엔부르크까지 전철화되어 베를린 S반의 일부가 되었다. 1950년 슈테티너 반호프는 노르트반호프(북역)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1961년 베를린 장벽 건설로 프로나우와 호엔 노이엔도르프 사이 노선이 폐쇄되면서 전기 운행은 중단되었다. 북부 철도의 베를린 구간은 1952년 5월 18일에 노르트반호프로 가는 간선 교통이 중단되었다.
장벽 건설 직후 오라니엔부르크와 호엔 노이엔도르프 사이 S반은 고립되었으나, 베를린 외곽 순환선을 따라 S반 선로가 건설되어 1961년 11월 S반 네트워크에 연결되었다. 베를린 S반 서비스는 1984년 1월 9일 동독 철도에서 BVG로 서베를린 S반 운영권이 이전될 때까지 프로나우까지 계속되었다. 서비스는 중단되었다가 1984년 10월 1일 재개되었다.
독일 재통일 이후, 여러 작은 정류장이 폐쇄되었다. 1992년 프로나우와 호엔 노이엔도르프 사이 구간이 다시 열려 북부 철도에서 오라니엔부르크까지 S반 서비스가 재개되었다.
장기적으로 베를린에서 비르켄베르더까지 직통 노선 재개통이 계획되어 160km/h의 선로 속도로 2개 선로를 재건설할 예정이지만, 날짜는 정해지지 않았다.
2. 1. 초기 계획
1844년 슈트랄준트의 상인과 기업가들이 베를린-노이슈트렐리츠-슈트랄준트 철도추진협회(Verein zur Erlangung einer Eisenbahn von Berlin über Neu-Strelitz nach Stralsundde)를 결성했고, 같은 해에 베를린-슈트랄준트 철도 계획안(Vorläufige Ansichten über eine Berlin-Stralsunder Eisenbahnde)을 발행했다.[4] 이들은 노선 건설 출자금을 모금했지만, 프로이센 관료 조직은 이 계획안을 거절하여 철도추진협회의 노력은 실패로 돌아갔다. 1863년 앙거뮌데-슈트랄준트선이 개통되어 프렌츨라우, 앙클람, 그라이프스발트, 슈트랄준트가 철도로 연결되었고, 같은 해 10월 26일 앙거뮌데에서 출발한 첫 열차가 슈트랄준트 중앙역에 도착했다.슈트랄준트 주민들은 베를린과의 직통 철도 노선 건설을 위해 베를린 북부 철도회사(Berliner Nord-Eisenbahn-Gesellschaftde)를 새로 설립했으며, 1869년 베를린 - 노이슈트렐리츠 - 슈트랄준트 - 아르코나 구간 철도 노선 계획안을 제안했다. 1870년 프로이센과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국은 이 노선 건설안을 승인했다. 그러나 베를린 북부 철도회사는 재정난으로 1875년 12월 15일에 청산되었고, 프로이센은 당시 건설 중이던 노선을 인수하여 니더슐레지엔-마르크 철도회사의 주도로 공사를 계속 진행했다.
2. 2. 건설과 개통
프로이센 정부는 재정 문제로 해산된 베를린 북부 철도 회사의 노선 건설을 인수하여 계속 진행했다.[5] 1877년부터 1878년까지 세 단계에 걸쳐 노선이 개통되었다.개통일 | 구간 | 거리 |
---|---|---|
1877년 7월 10일 | 베를린-오라니엔부르크-노이슈트렐리츠-노이브란덴부르크 | 134 km |
1877년 12월 1일 | 노이브란덴부르크-데민 | 42 km |
1878년 1월 1일 | 데민-슈트랄준트 | 47 km |
초기에는 베를린 게준트브루넨역에서 출발하여 베를린 순환선을 통해 베를린 동역(니더슐레지엔-마르크 철도의 화물역)으로 운행하였다.[5] 이후 여객 열차는 베를린 슈테틴역(1950년 이후 북역)을 사용하였다.[5] 북부선 건설로 글리니케 등 연선 지자체의 인구가 증가하는 등 지역 발전에 기여하였다.
2. 3. 1900년대의 근교선 전철화
1912년까지 게준트브루넨-프로나우 구간에는 장거리 열차선과 분리된 근교선이 건설되었고, 철도 건널목을 줄이기 위해 노반이 지상에서 제방으로 올라갔다.[10] 1926년까지 프로나우-보르크스도르프 구간 근교선이 순차적으로 건설되었다. 이 과정에서 슈톨페역과 구 호엔 노이엔도르프역이 합쳐지면서 구 호엔 노이엔도르프역 남쪽에 현재의 호엔 노이엔도르프역이 건설되었다.[10]1925년부터 베를린 게준트브루넨역-오라니엔부르크역 구간이 베를린 S반의 제3궤조 직류 방식으로 전철화되었다. 오라니엔부르크 인근에는 1907년부터 1913년까지 전기 철도 시험용으로 교류 6300 V 25 Hz 가공 전차선으로 전철화된 1.76 km 길이의 환상선이 건설되었다.[7][8][9]
2. 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5년 여름, 독일의 소련에 대한 전쟁 배상으로 북부선 열차선의 복선 궤도와 S반선의 빌헬름스루-보르크스도르프 구간 복선 궤도가 징발되었다.[11]1950년 슈테틴역이 베를린 북역으로 개칭되면서 구 베를린 북역도 에버스발더 슈트라세역으로 개칭되었다. 1952년 5월 18일, 베를린 북부선의 베를린 시내 장거리 열차 영업이 중단되었다. 이후 장거리 열차는 베를린 외곽순환선을 경유하여 베를린 리히텐베르크역 및 베를린 동역을 종착역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1961년 8월 13일 베를린 장벽 건설로 프로나우-호엔 노이엔도르프 구간의 S반 영업이 단절되었다. 장벽 건설 이후 오라니엔부르크-호엔 노이엔도르프 간 S반 운행은 다른 구간과 단절되었으나, 베를린 외곽순환선의 호엔 노이엔도르프-블랑켄부르크 간에 별도의 노선과 연결선이 건설되면서 1961년 11월부터 동베를린으로의 S반 운행이 재개되었다. 서베를린 지역에서는 독일국영철도에서 S반 운행을 계속 담당하다가 BVG에 영업권이 양도된 이후에도 1984년 1월 9일까지 계속 영업이 진행되었다. 1984년 1월부터 9월 30일까지는 S반 영업이 중단되었다. 1985년 개보수공사 당시에는 S반 노선이 과거 열차선 노반의 일부에 설치되었다.
1983년부터 1984년까지 북부선의 남쪽 구간이 전철화되었다. 1984년 6월 2일 베를린-노이슈트렐리츠 구간이 전철화되었고[11], 노이슈트렐리츠-바르네뮌데선의 로스토크 방면 열차가 주로 사용했다. 나머지 북부 구간은 1993년/1994년에 전철화되었다. 1993년 5월 23일부터 노이슈트렐리츠-노이브란덴부르크, 1994년 5월 29일부터 슈트랄준트까지의 전 구간 전철 운행이 시작되었다.[12]
2. 5. 재통일 이후
독일 재통일 이후 인구 희박 지역의 여러 소형역이 폐역되었고 일부는 버스 대체 수송으로 변경되었다.[13] 1992년에는 프로나우-호엔 노이엔도르프 S반 노선이 다시 연결되었고 오라니엔부르크까지 전 구간 S반 영업이 다시 시작되었다.[13]2. 6. 베를린-로스토크 구간 개량
2007년부터 비르켄베르더-노이슈트렐리츠 구간은 베를린-로스토크 구간 개량[15]에 포함되어 시속 160km로 증속하고 축중 25t 열차가 운행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16] 이 과정에서 전자식 신호소가 설치되었다.[17]2012년 기준 198km 구간 개량 비용은 8.5억유로였다.[17] 이 중 5.77억유로는 독일 연방정부, 1.67억유로는 유럽연합 지역개발기금, 나머지는 DB Netz AG의 자체 자금으로 충당했다.[18]
개량 공사는 구간별로 진행되었다.
- 2007년 11월까지: 뢰벤베르크 (마르크)-그란제 구간[19]
- 2009년 3월부터 11월까지: 다넨발데-퓌르스텐베르크 구간
- 2011년 7월부터 2012년 8월까지: 그란제-다넨발데 구간[20]
2012년 9월 10일부터 2013년 6월 9일까지 오라니엔부르크-노이슈트렐리츠 구간이 폐쇄되었고 추가 공사가 진행되었다. 나센하이데 및 뢰벤베르크 일대의 습지 지반으로 인하여 노반 보강 공사가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지반까지 내려오는 말뚝 7,200개가 설치되었다. 퓌르스텐베르크-노이슈트렐리츠 구간에도 쇄석다짐말뚝 16,000개가 설치되었다. 궤도 63km, 전자식 신호소 5개소가 설치되었다. 단선 재개통은 2013년 4월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6월 9일로 연기되었다. 2013년 말 복선 운행이 재개되었다.[21] 나센하이데, 그뤼네베르크, 뢰벤베르크역에는 새로운 승강장이 건설되었다.[22] 공사 중 오라니엔부르크 일대에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불발탄이 처리되었다.
오라니엔부르크-나센하이데 구간은 2017년부터 개보수공사가 계획되어 있었고[23] 그란제 개보수공사가 포함되어 있다.[25] 그란제역 개보수공사는 17개월간 진행된 끝에 2020년 초에 완료되었다. 1.6km 구간 궤도가 축중 25t 기준으로 개수되었고 전차선 및 보안 장치가 개선되었다. 새로운 역 광장, 자전거 주차장, 지하 통로 접근성 공사가 진행되었다.[24]
오라니엔부르크, 퓌르스텐베르크 (하펠), 노이슈트렐리츠 중앙역은 2014년에서 2019년-2021년으로 착공이 지연되었다.[25] 2017년에 퓌르스텐베르크 (하펠)역이 건축유산으로 지정되면서 개보수공사 계획이 변경되어 2025년 이전에는 착공이 불가능하게 되었다.[26]
2022년에는 데민 근처의 페네강 철교가 개축되었다.[27]
2. 7. 추가 계획
베를린 북부선 시내 구간(보른홀머 슈트라세-빌헬름스루) 열차선 재건설 계획은 i2030에 포함되어 추진 중이다.[28] 이 구간은 하이데크라우트선으로 운행하는 열차가 사용하여, 게준트브루넨 방면으로 30분 배차 간격으로 운행할 예정이다.[28] 보른홀머 슈트라세-쇤홀츠 구간은 복선으로 건설되며, 쇤홀츠역 유치선까지 전철화될 예정이다. 빌헬름스루까지는 비전철로 개통되며, 단선/복선 여부는 미정이다. 2024년까지 예산안 확정,[29] 2024년 이후 건설 허가, 2027년 이후 착공, 2030년 개통 예정이다.[30]장기적으로 베를린-비르켄베르더 구간 직통 열차선 건설이 계획되어 있다. 18.8 km 구간에 시속 160 km 대응 가능한 규격으로 건설될 예정이나, 일정은 미정이다.[31] 단선 열차선 재건설 타당성 조사만 진행되었으며,[32] 독일 연방교통계획 2030의 잠재적 수요에 포함되었으나,[33] 우선 순위는 높지 않다.[34]
비르켄베르더역에는 S반과 지역간 열차 승강장 분리가 계획되어 있다.[35]
오라니엔부르크까지 전 구간 10분 배차 간격 도입이 계획되어 있으며, 프로나우-호엔 노이엔도르프 구간 복선화가 i2030에 포함되어 있다.[28]
3. 운영
베를린 순환선 교차점 이남 구간은 폐선되었다. 베를린 순환선 교차점부터 보른홀머 슈트라세역까지 구간은 장거리, 지역간 열차, 화물 열차가 사용하며, 이들 열차는 슈체친선으로 계속 운행한다. 슈체친선 분기 이후 베를린 쇤홀츠역까지는 장거리 열차선이 존재하나, 크레멘선 방면으로의 비정기 화물 열차만 운행한다. 쇤홀츠역부터 호엔 노이엔도르프역까지의 장거리 열차선은 폐선되었으며, 베를린 S반 선로만 운행 중이다. 베를린 S반의 S1 노선은 오라니엔부르크역까지의 베를린 북부선 구간 전체를 운행하며, S25 노선은 순환선부터 쇤홀츠역까지, S85 노선은 순환선부터 바이트만슬루스트역까지, S8 노선은 호엔 노이엔도르프역부터 비르켄베르더역까지 구간을 운행한다.
호엔 노이엔도르프/비르켄베르더 일대에서는 장거리 열차선과 베를린 외곽순환선이 연결되며, 여기에서부터 로스토크 중앙역 및 슈트랄준트 중앙역 방면 RE 5 노선이 운행하기 시작한다. 오라니엔부르크까지는 헤니히스도르프 경유 포츠담 중앙역 방면 RB 20 노선이 운행한다. 뢰벤베르크까지는 RB 12 노선이 운행하며 이후 템플린 방면으로 분기한다. RB 54 노선은 비정기적으로 운행한다. 호엔 노이엔도르프-노이슈트렐리츠-로스토크 구간은 IC 열차 및 화물 열차가 운행한다.
참조
[1]
서적
Eisenbahnatlas Deutschland (German railway atlas)
Schweers + Wall
[2]
뉴스
Mecklenburg-Vorpommern und Deutsche Bahn AG über Zeitplan für den Ausbau der Strecke Berlin-Rostock einig
http://www.regierung[...]
[3]
뉴스
Bauarbeiten zwischen Löwenberg–Gransee beendet
http://www.regierung[...]
[4]
서적
Biblioteca geographica: Verzeichniss der seit der Mitte des vorigen Jahrhunderts bis zu Ende des Jahres 1856 in Deutschland erschienenen Werke über Geographie und Reisen
https://books.google[...]
Leipzig
1858
[5]
서적
Berliner Nordbahn – 125 Jahre Eisenbahn Berlin–Neustrelitz–Stralsund
Neddermeyer, Berlin
[6]
서적
Berliner Nordbahn – 125 Jahre Eisenbahn Berlin–Neustrelitz–Stralsund
Neddermeyer, Berlin
[7]
간행물
Frühgeschichte elektrischer Bahnen in Preußen
Hermann-Merker-Verlag, Fürstenfeldbruck
[8]
웹사이트
Versuchsbahnen
http://www.zeno.org/[...]
Röll
1912
[9]
서적
Versuche mit elektrischem Betrieb auf schwedischen Staatsbahnen
https://digital.zlb.[...]
[10]
서적
Berliner Nordbahn – 125 Jahre Eisenbahn Berlin–Neustrelitz–Stralsund
Neddermeyer, Berlin
[11]
서적
Die Lloydbahn, Neustrelitz–Rostock–Warnemünde
Verlag Bernd Neddermeyer, Berlin
[12]
서적
Berliner Nordbahn – 125 Jahre Eisenbahn Berlin–Neustrelitz–Stralsund
Neddermeyer, Berlin
[13]
뉴스
Aus Bahnhof will bislang keiner etwas machen
Nordkurier. Strelitzer Zeitung
2002-06-11
[14]
웹인용
Bauschwerpunkte im S-Bahn-Netz 2011
http://www.s-bahn-be[...]
2011-09-01
[15]
뉴스
Mecklenburg-Vorpommern und Deutsche Bahn AG über Zeitplan für den Ausbau der Strecke Berlin-Rostock einig.
http://www.regierung[...]
mecklenburgischen Ministeriums für Verkehr, Bau und Landesentwicklung
2010-02-02
[16]
문서
Bundesverkehrswegeplan 2003
Bundesministerium für Verkehr, Bau und Stadtentwicklung
2003-07
[17]
웹인용
Bahnstrecke Berlin–Rostock für ein halbes Jahr gesperrt
http://www.deutscheb[...]
2012-06-05
[18]
웹인용
Weitere EU-Mittel für den Ausbau der Eisenbahnstrecke Berlin – Rostock
http://www.bmvbs.de/[...]
2013-10-30
[19]
웹인용
Bauarbeiten zwischen Löwenberg–Gransee beendet
http://www.berliner-[...]
2023-02-26
[20]
뉴스
Bahn ertüchtigt Abschnitt Gransee–Dannenwalde
Deutsche Bahn AG
2011-06-30
[21]
웹인용
Sperrung der Strecke Berlin – Rostock bis zum 9. Juni 2013 verlängert
http://www.deutscheb[...]
2013-02-06
[22]
서적
Sperrung der Eisenbahnstrecke Berlin – Rostock
2012
[23]
웹인용
Planfeststellungbeschluss Oranienburg(a) – Nassenheide(a)
https://www.eba.bund[...]
2016-12-30
[24]
서적
Bahnhof Gransee ist jetzt moderner
https://www.punkt3.d[...]
2020
[25]
뉴스
Bahnstrecke Berlin-Rostock wird zur Endlos-Baustelle
https://www.nordkuri[...]
Nordkurier
2014-03-20
[26]
뉴스
Baubeginn am Fürstenberger Bahnhof frühestens 2025
https://www.moz.de/l[...]
Märkische Allgemeine Zeitung
2019-05-22
[27]
뉴스
Bahnbrücken-Koloss millimeterweise über Peene-Fluss geschoben
https://www.berliner[...]
2022-04-22
[28]
웹인용
Potsdamer Stammbahn und Lenkungskreis „i2030“
https://www.parlamen[...]
[29]
웹인용
i2030-Teilprojekt Nordbahn: Weitere Planungen sehen mehr Gleise vor
https://www.vbb.de/f[...]
[30]
웹인용
Drucksache 18/28170
https://pardok.parla[...]
2021-07-29
[31]
문서
Bericht zum Ausbau der Schienenwege 2006
http://dipbt.bundest[...]
[32]
웹인용
Berlin–Rostock bald viel schneller?
http://dmm.travel/ne[...]
[33]
웹인용
Dossier
http://www.bvwp-proj[...]
[34]
웹인용
BMVI – Bewertung der Schienenwegeausbauvorhaben des Potenziellen Bedarfs
https://www.bmvi.de/[...]
[35]
서적
Neuer Planungsstand für Infrastrukturkonzept i2030
2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